프로그래밍

네트워크, 라우팅 주요 용어

바이오닉크로니클 2025. 3. 19. 04:17

1. IP 주소

  • 주소 클래스 시스템: 글로벌 IP 주소 공간을 여러 범위로 나누는 방식.
  • 점 소수점 표기법: IP 주소를 숫자와 점을 이용해 표현하는 방식.
  • 고정 IP 주소: 수동으로 할당해야 하는 IP 주소.
  • 동적 IP 주소: DHCP를 통해 자동으로 할당되는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IP 주소에서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32비트 숫자.
  • 서브넷팅: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서브 네트워크로 나누는 과정.
  • 라우팅할 수 없는 주소 공간: 인터넷에서 직접 사용되지 않는 사설 IP 주소 공간(RFC 1918에서 정의한 10.0.0.0/8, 172.16.0.0/12, 192.168.0.0/16).
  • NAT(네트워크 주소 변환):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IANA(인터넷 할당 번호 기관): IP 주소와 같은 인터넷 자원을 관리하는 비영리 단체.

2. 라우팅

  •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터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
  • 경계: 네트워크의 한 영역과 다른 영역을 나누는 개념
  • 경계 지점: 한 네트워크가 끝나고 다른 네트워크가 시작되는 지점
  •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 단일 자율 시스템(AS) 내부에서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
  •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EGP): 여러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BGP가 대표적).
  • ASN(자율 시스템 번호): 각 자율 시스템(AS)에 할당된 고유 번호.
  • 대상 네트워크: 라우팅 테이블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열.
  • 다음 홉: 특정 패킷을 전달해야 하는 다음 라우터의 IP 주소.
  • 총 홉: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가는 데 거치는 라우터 수.
  •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경로 정보를 저장한 목록.

3.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주소 관련 기술

  • ARP(주소 확인 프로토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 ARP 테이블: IP 주소와 해당 MAC 주소를 저장한 목록.
  • DHCP(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네트워크 장치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
  • IP 데이터그램: 전송되는 IP 패킷 단위.
  • TTL(Time-To-Live) 필드: 패킷이 소멸되기 전 최대 홉 수를 나타내는 값.
  • 헤더 체크섬 필드: IP 데이터그램의 오류를 검사하는 값.
  • 조각화: IP 패킷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는 과정.
  • 조각화 오프셋 필드: 조각화된 패킷을 재조합하는 데 필요한 정보.

4. 이더넷 및 네트워크 장비

  • 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
  • 이더넷 프레임: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단위.
  • MAC 주소: 네트워크 장비에 부여되는 고유한 하드웨어 주소.
  •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내 모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LAN(로컬 영역 네트워크): 같은 건물이나 가까운 거리에서 운영되는 네트워크.
  • VLAN(가상 LAN): 물리적으로 같은 네트워크라도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허브: 네트워크 장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장치.
  • 스위치: 네트워크 장치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목적지로 전달하는 장치.
  • 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
  • 네트워크 포트: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 라우터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지점.

5. 네트워크 계층 및 데이터 전송 기술

  • OSI 7계층 모델: 네트워크 통신을 7개 계층(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전송, 세션, 표현,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한 모델.
  • 5계층 모델: 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전송,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모델.
  • TCP(전송 제어 프로토콜): 연결 지향적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 UDP(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비연결형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 CSMA/CD(충돌 감지 기능이 있는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충돌을 감지하고 재전송을 조절하는 기술.
  • 브로드캐스트 주소: 네트워크 내 모든 장치를 대상으로 하는 특수 주소.
  • 유니캐스트: 단일 대상에게만 전송되는 방식.
  • 멀티캐스트: 특정 그룹에게만 전송되는 방식.
  • 이더넷 포트: PC, 서버, 네트워크 장비에 있는 유선 연결용 포트
  • 광 포트: 광섬유 케이블을 연결하는 포트
  • 네트워크 스위치(Network Switch): 여러 장치를 연결하고 데이터 프레임을 목적지로 전달하는 장치
    • 레이어 2 스위치(데이터 링크 계층): MAC 주소 기반 데이터 전달
    • 레이어 3 스위치(네트워크 계층): IP 주소 기반 데이터 전달
  • 노드(Node): 연결된 모든 장치,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사용자 장치) 또는 서버(데이터 제공 장치) 역할 수행
    •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 페이로드: 실제 데이터가 포함된 부분.
  • 라인 코딩: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변조하는 방식
  • 옥텟: 8비트 크기의 데이터 단위
  • 16진수: MAC 주소나 IP 주소 표현 시 자주 사용되는 수 체계
  • OUI(조직 고유 식별자): MAC 주소에서 제조업체를 식별하는 첫 3옥텟
  • 프리앰블(Preamble): 이더넷 프레임에서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수신 장치가 준비할 수 있도록 보내는 신호
    • 8바이트(64비트) 길이이며, 송신 장치가 수신 장치에 데이터 전송을 시작할 것임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 SFD(시작 프레임 구분자)가 뒤따라오며, 이는 실제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낸다.

6. 기타 네트워크 용어

  • 식별 필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그룹화하는 16비트 값.
  • 플래그 필드: 패킷이 조각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
  •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 데이터 오류를 감지하는 체크섬 값.
  • 전이중: 네트워크에서 양방향 통신이 동시에 가능한 방식.
  • 반이중: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통신하는 방식.
  • 허브와 충돌 도메인: 허브를 통해 연결된 모든 장치는 같은 충돌 도메인에 속한다.
  • 크로스토크: 네트워크 케이블에서 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현상.
  • 광케이블: 빛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구리선을 서로 꼬아 간섭을 줄인 케이블.
  • 패치 패널: 네트워크 포트를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는 장치.
  • 인터페이스: 라우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물리적 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