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가 등장하기 전 인류는 손이나 나무막대기, 돌을 사용해 수를 세거나 서로의 의사를 표현하고, 기록했다. 계산도구로서의 기원은 기원전 2500년 경 중국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주판이다.
17세기에 들어 이런 주판보다 성능이 우수한 여러 가지 기계식 계산 도구가 발명되기 시작했다. 1617년 스코틀랜드의 귀족인 네이피어는 네이피어 봉이라 하는 곱셈용 계산도구를 만들었고, 1642년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파스칼은 가산기를 만들었는데 이는 최초로 제작된 기계식 계산장치이다. 이 기계의 이름은 파스칼린으로 세금징수원인 파스칼의 부친을 돕기 위한 것이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후 찰스 배비지의 차분기관과 해석기관이 개념적으로 등장했고, 특히 해석기계는 오늘날 컴퓨터의 처리형태와 유사하게 입력장치와 기억장치, 산출장치, 자동출력장치, 순차적 프로그램 제어, 그리고 20자리의 정밀도를 갖는 획기적인 장치였다.
컴퓨터는 전자공학에 기초한 디지털 계산기이다. 최초엔 내부소자를 진공관으로 제작했고, 이후 트랜지스터, 집적회로, 고밀도, 초고밀도 집적회로가 등장했다. 현대 컴퓨터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내장방식인 폰 노이만 구조가 탄생했고 그 이후 컴퓨터는 빠르게 발전했다.
현대의 컴퓨터는 더욱 작고 빠르며 값싸고 강력한 기능과 성능을 갖는 쪽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컴퓨터를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GUI를 더욱 강화시키는 쪽으로 발전하고 있다.
컴퓨터의 자료처리도 숫자나 문자 위주에서 벗어나 오디오,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을 포함한 고화질, 고음질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형태로 가공되고 저장되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 이용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컴퓨터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세계적 이용환경으로 바뀌고 있으며, WWW와 온디맨드 시스템의 보편화로 컴퓨터와 통신망을 통해 구성되는 가상공간을 중심으로 국가기관과 사회 각 분야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전기 대신 빛으로 움직이는 컴퓨터, 반도체 대신 초전도체로 움직이는 컴퓨터, 인간의 신경망을 닮은 컴퓨터 등으로 초능력·초고속·초경량의 컴퓨터가 생활을 윤택하게 만들 것이다.
최근 등장한 ai도 있으며 조만간 특이점에 도달하여 인간은 놀고 행복하게 사는데 집중하고, 귀찮고 하기 싫은 일은 컴퓨터가 모두 처리하는 세상도 올 수 있지 않을까?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성형 ai는 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가? (1) | 2025.07.17 |
---|---|
개인용 컴퓨터의 종류와 운영체제 (0) | 2025.03.23 |
정보사회와 컴퓨터 (0) | 2025.03.20 |
잠깐 읽은 기술글 (0) | 2025.03.19 |
네트워크, 라우팅 주요 용어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