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형 / 표현 정리
1.1. 명사 + ばかりしている
- 의미
- “~만 하고 있다”라는 뜻으로, 특정 행동(또는 상태)을 반복하거나 그것만 계속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한국어의 “맨날 ~만 하고 있다”, “자꾸 ~만 하고 있다” 정도의 뉘앙스.
- 예문
- ゲームばかりしている
- 「ゲーム」= 게임
- 해석: “게임만 하고 있다.”
- 遊(あそ)びばかりしている
- 「遊(あそ)び」= 놀이, 노는 것
- 해석: “놀기만 하고 있다.”
- ゲームばかりしている
- 활용
- 명사 뒤에 ばかりしている를 그대로 붙이면 됩니다.
-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例: 勉強(べんきょう), 運動(うんどう) 등)이나 일반 명사와도 연결 가능.
1.2. た형 + ばかりしている
- 의미
- “~한 참이다”,“~한 지 얼마 안 되었다”라는 뉘앙스를 갖습니다.
- 과거 동사(た형)에 ばかり를 붙여서 “방금 ~했는데 또 ~한다”거나 “막 ~한 상태다” 같은 의미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예문
- 食(た)べたばかりしている
- 방금 막 식사를 끝냈는데도 계속 뭔가 먹고 있다는 뉘앙스.
- 해석: “방금 먹었는데도 또 먹고 있다.”
- 買(か)ったばかりしている
- 방금 샀는데 또 사고 있거나, 막 샀는데 그 상태 그대로라는 느낌으로도 쓰임.
- 해석: “막 샀는데도 또 사고 있다.” (상황에 따라 의미 달라질 수 있음)
- 食(た)べたばかりしている
- 주의
- “막 ~했다” 자체만 말하고 싶으면 た형 + ばかり(だ)로 쓰는 경우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 예) 今(いま)買(か)ったばかりだ (지금 막 샀다)
- “막 ~했다” 자체만 말하고 싶으면 た형 + ばかり(だ)로 쓰는 경우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1.3. のに
- 의미
- “~인데”, “~인데도(불구하고)”라는 뜻으로 역접(逆接, ぎゃくせつ)을 나타냅니다.
- 한국어의 “~하는데도”, “~임에도 불구하고”와 유사.
- 예문
- 雨(あめ)が降(ふ)っているのに、出(で)かけなきゃいけない。
- 해석: “비가 오는데(도 불구하고), 나가야 한다.”
- 一生懸命(いっしょうけんめい)勉強(べんきょう)したのに、試験(しけん)に落(お)ちた。
- 해석: “열심히 공부했는데 시험에 떨어졌다.”
- 雨(あめ)が降(ふ)っているのに、出(で)かけなきゃいけない。
1.4. だれが / だれか
- 의미
- だれが: “누가” (구체적으로 누가 그 행동을 했는지, 주체를 특정해서 묻는 느낌)
- だれか: “누군가” (막연히, 특정되지 않은 어떤 사람)
- 예문
- だれがこのケーキを食(た)べたの?
- 해석: “누가 이 케이크를 먹은 거야?” (주체를 알고 싶을 때)
- だれかがケーキを食(た)べたみたいだ。
- 해석: “누군가 케이크를 먹은 것 같다.” (누구인지 확실치 않음)
- だれがこのケーキを食(た)べたの?
1.5. ‘궁금하다’와 관련된 표현
1.5.1. 聞(き)いていいんですか
- 의미/용법
- 상대방에게 무엇인가를 물어봐도 괜찮은지 정중히 확인할 때 쓰는 표현.
- 직역: “물어봐도 되나요?”
- 예문
- ちょっと聞(き)いていいんですか?
- 해석: “잠시 여쭤봐도 될까요?”
- ちょっと聞(き)いていいんですか?
1.5.2. 聞(き)きたんですけど
- 의미/용법
- “물어보고 싶었는데요...”, “~에 대해 물어보려 했는데요...”라는 부드러운 어감.
- 뉘앙스상 상대에게 편하게 질문을 꺼내는 표현.
- 예문
- 実(じつ)は少(すこ)し聞(き)きたんですけど…
- 해석: “실은 좀 여쭤보고 싶은 게 있는데요…”
- 実(じつ)は少(すこ)し聞(き)きたんですけど…
1.5.3. 気(き)になる
- 의미
- 한국어로 “신경 쓰이다”, “궁금하다”, “마음에 걸린다” 등에 해당.
- 직접적으로 “~을 알고 싶다”라기보다, “그것이 신경이 쓰여 계속 마음에 남는다”는 느낌.
- 예문
- あの人(ひと)のことが気(き)になる。
- 해석: “저 사람이 신경 쓰여(궁금해).”
- 明日(あした)の天気(てんき)が気(き)になる。
- 해석: “내일 날씨가 신경 쓰인다(궁금하다).”
- あの人(ひと)のことが気(き)になる。
1.6. 知(し)りたい에 관해서
- “知(し)りたい”는 ‘(무언가를) 알고 싶다’는 직접적인 표현
- 보통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확실히 요구하거나 궁금함을 강하게 드러낼 때 사용
- 상대에게 “(상세히) 가르쳐 달라”고 요청할 때에 자주 씀.
- 일상 회화에서 “궁금하다” 정도의 가벼운 뉘앙스로는 気(き)になる나 다른 표현을 더 자주 사용.
- 예문
- もっと詳(くわ)しく知(し)りたいです。
- 해석: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 その話(はなし)の続(つづ)きが知(し)りたい。
- 해석: “그 이야기의 이어지는 내용이 궁금하다(알고 싶다).”
- もっと詳(くわ)しく知(し)りたいです。
- 주의
- 한국어에서 “궁금하다”라고 가볍게 말하는 상황에서도, 일본어에서는 “気(き)になる”가 자연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
- “知(し)りたいです”라고 하면, 상대가 “정보를 꼭 알려달라”는 강한 의사로 받아들일 수도 있으니 주의.
1.7. ~てほしい
- 의미
- “~해 주었으면 한다”, “~해 줬으면 좋겠다.”
- 상대에게 어떤 행동을 바라거나 요구할 때 쓰는 표현.
- 문법적으로는 (동사 て형) + ほしい로, 보조 동사(補助動詞, ほじょどうし)처럼 쓰임.
- 형태상 특징
- ほしい 자체는 형용사(形容詞, けいようし)의 특징을 가집니다.
- 예) 食(た)べてほしい, 見(み)てほしい, 教(おし)えてほしい 등
- 예문
- 手伝(てつだ)ってほしい。
- 해석: “도와줬으면 좋겠어.”
- それについて詳(くわ)しく教(おし)えてほしいです。
- 해석: “그것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 주셨으면 합니다.”
- 手伝(てつだ)ってほしい。
1.8. そば
- 의미
- “옆”, “곁”을 뜻하는 명사.
- 공간적으로 ‘바로 근처’, ‘가까운 장소’를 의미하기도 하고, 심리적으로 ‘가까운 곳’, ‘곁에 있는 존재’라는 뉘앙스도 있음.
- 예문
- 私(わたし)のそばにいて。
- 해석: “내 곁에(옆에) 있어 줘.” (심리적·물리적 거리 모두 가능)
- 駅(えき)のそばにコンビニがあります。
- 해석: “역 옆(가까운 곳)에 편의점이 있습니다.”
- 私(わたし)のそばにいて。
2. N2 웹문제 어휘
아래는 N2 수준의 주요 단어 및 표현을 묶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2.1. 단어 (상황·증명·증상 등)
- 状況(じょうきょう)
- 뜻: 상황, 정세
- 예문: 今(いま)の状況(じょうきょう)では、出発(しゅっぱつ)を延期(えんき)するしかない。
- 해석: 지금 상황에서는 출발을 연기할 수밖에 없다.
- 感謝状(かんしゃじょう)
- 뜻: 감사장
- 예문: ボランティア活動(かつどう)に長年(ながねん)貢献(こうけん)した人(ひと)に感謝状(かんしゃじょう)を贈(おく)った。
- 해석: 오랫동안 봉사활동에 공헌한 사람에게 감사장을 보냈다.
- 賞状(しょうじょう)
- 뜻: 상장
- 예문: コンテストで優勝(ゆうしょう)して、賞状(しょうじょう)をもらった。
- 해석: 콘테스트에서 우승해서 상장을 받았다.
- 症状(しょうじょう)
- 뜻: 증상
- 예문: 風邪(かぜ)の症状(しょうじょう)がひどくなったら、早(はや)めに病院(びょういん)に行(い)ってください。
- 해석: 감기 증상이 심해지면 빨리 병원에 가세요.
2.2. 단어 (적자·흑자·전환 등)
- 赤字(あかじ)
- 뜻: 적자
- 예문: 今年度(こんねんど)の決算(けっさん)は赤字(あかじ)だそうだ。
- 해석: 올해 결산은 적자라고 한다.
- 黒字(くろじ)
- 뜻: 흑자
- 예문: 去年(きょねん)は黒字(くろじ)になったが、今年(ことし)はそうはいかない。
- 해석: 작년에는 흑자가 났지만, 올해는 그렇게 안 될 것 같다.
- 転換(てんかん)
- 뜻: 전환
- 예문: 気分(きぶん)転換(てんかん)に散歩(さんぽ)をする。
- 해석: 기분 전환으로 산책을 한다.
- 実況(じっきょう)
- 뜻: 실황
- 예문: サッカーの実況(じっきょう)中継(ちゅうけい)を見るのが楽(たの)しみだ。
- 해석: 축구 실황 중계를 보는 것이 즐겁다.
- 寝不足(ねぶそく)
- 뜻: 수면 부족
- 예문: 寝不足(ねぶそく)の状態(じょうたい)が続(つづ)いていて、仕事(しごと)に集中(しゅうちゅう)できない。
- 해석: 수면 부족 상태가 계속되어서 일에 집중이 안 된다.
2.3. 단어 (부족·충분·보충 등)
- 不足(ふそく)している
- 뜻: 부족하다
- 동의어: 足(た)りない
- 반의어: 十分(じゅうぶん)だ, 足(た)りる, 足(た)りている
- 예문: このチームには経験(けいけん)が不足(ふそく)している。
- 해석: 이 팀은 경험이 부족하다.
- 足(た)す
- 뜻: 더하다, 보태다
- 예문: コーヒーが苦(にが)いので砂糖(さとう)を少(すこ)し足(た)した。
- 해석: 커피가 쓰길래 설탕을 조금 더했다.
- 水不足(みずぶそく)
- 뜻: 물 부족
- 예문: 今年(ことし)は雨(あめ)が降(ふ)らなくて水不足(みずぶそく)が心配(しんぱい)だ。
- 해석: 올해는 비가 내리지 않아서 물 부족이 걱정이다.
- 1に1を足(た)すと
- 뜻: 1에 1을 더하면 (1 + 1 = 2)
- 예문: 算数(さんすう)の授業(じゅぎょう)で、「1に1を足(た)すと2になる」と教(おし)わった。
- 해석: 산수 시간에 “1에 1을 더하면 2가 된다”고 배웠다.
2.4. 그 외(용지·손 뻗기 등)
- 解答用紙(かいとうようし)
- 뜻: 해답용지, 답안지
- 예문: 解答用紙(かいとうようし)は名前(なまえ)を先(さき)に書(か)いてください。
- 해석: 답안지에는 이름을 먼저 써 주세요.
- 手(て)を伸(の)ばす
- 뜻: 손을 뻗다
- 예문: 棚(たな)の上(うえ)の物(もの)を取(と)ろうとして、手(て)を伸(の)ばした。
- 해석: 선반 위의 물건을 집으려고 손을 뻗었다.
2.5. 문법 포인트: 의지형 + (よ)うとする
- 의미: “~하려고 하다”
- 만들기: 동사의 의지형 + 「とする」
- 예) 行(い)こうとする(가려고 하다), 食(た)べようとする(먹으려고 하다) 등
- 예문
- 家(いえ)を出(で)ようとしたら、電話(でんわ)が鳴(な)った。
- 해석: 집을 나가려는데 전화가 울렸다.
- 宿題(しゅくだい)をやろうとしたけど、眠(ねむ)くなって寝(ね)てしまった。
- 해석: 숙제를 하려고 했는데 졸려서 그냥 자 버렸다.
- 家(いえ)を出(で)ようとしたら、電話(でんわ)が鳴(な)った。
2.6. 이웃 관련 단어
- 隣(となり)
- 뜻: 옆, 이웃
- 예문: 隣(となり)の部屋(へや)がちょっとうるさい。
- 해석: 옆 방이 좀 시끄럽다.
- 隣人(りんじん)
- 뜻: 이웃 사람
- 예문: 隣人(りんじん)と仲良(なかよ)くなった。
- 해석: 이웃 사람과 사이가 좋아졌다.
- 近隣(きんりん)の住宅(じゅうたく)
- 뜻: 근처(주변), 이웃(근린)의 주택
- 예문: 近隣(きんりん)の住宅(じゅうたく)から騒音(そうおん)の苦情(くじょう)が来(き)た。
- 해석: 근처 주택에서 소음 민원이 들어왔다.
2.7. 시간 관련 (頃(ころ)·근래 등)
- 頃(ころ)
- 뜻: ~무렵, 시절
- 예문: 学生(がくせい)の頃(ころ)はよく徹夜(てつや)した。
- 해석: 학생 시절에는 자주 밤을 새웠다.
- 近頃(ちかごろ)
- 뜻: 최근(근래)
- 예문: 近頃(ちかごろ)、忙(いそが)しすぎて趣味(しゅみ)の時間(じかん)が取(と)れない。
- 해석: 요즘 바빠서 취미 생활을 할 시간이 나질 않는다.
- この頃(ころ)
- 뜻: 요즘, 최근
- 예문: この頃(ころ)寒(さむ)くなってきたね。
- 해석: 요즘 추워졌네.
2.8. 신체 관련 (코·피 등)
- 血(ち)
- 뜻: 피
- 예문: けがをして血(ち)が出(で)た。
- 해석: 다쳐서 피가 났다.
- 鼻(はな)
- 뜻: 코
- 예문: 風邪(かぜ)をひいて鼻(はな)が詰(つ)まっている。
- 해석: 감기에 걸려 코가 막혔다.
- 鼻血(はなぢ)
- 뜻: 코피
- 예문: 転(ころ)んで鼻血(はなぢ)が出(で)た。
- 해석: 넘어져서 코피가 났다.
2.9. “이 정도 / 어느 정도”
- これくらい
- 뜻: 이 정도
- 예문: これくらいの量(りょう)なら、簡単(かんたん)に食(た)べられる。
- 해석: 이 정도 양이면 쉽게 먹을 수 있다.
- どのくらい
- 뜻: 어느 정도 (얼마나)
- 예문: ここから駅(えき)までどのくらいかかりますか。
- 해석: 여기서 역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2.10. “~ばかりしている” 및 유사 표현
- N + ばかりしている / て형 + てばかりしている
- 의미: “오로지 ~만 하고 있다” (부정적·잔소리 느낌일 때도 많음)
- 예문:
- ゲームばかりしている: 게임만 하고 있다.
- 遊(あそ)んでばかりしている: 놀기만 하고 있다.
- 동사 원형 + ところだ
- 의미: 사전형(현재 긍정) + ところ → “막 ~할 참이다”
- 예문:
- 行(い)くところです。 (지금 막 가려는 참입니다.)
- ~하고 있는 중 → 동사 て형 + ているところ
- 의미: 지금 ~하는 중이다
- 예문:
- 宿題(しゅくだい)をしているところ。 (지금 숙제하고 있는 중이야)
- 막 ~한 참 → 동사 た형 + たばかり / た形 + たところ
- 의미: 방금 ~했다
- 예문:
- 食(た)べたばかりだ。 (방금 먹은 참이다.)
- 今(いま)食(た)べたところです。 (지금 막 먹은 참이에요.)
2.11. 기타
- 呑気(のんき)だ
- 뜻: 느긋하다, 태평하다
- 예문: 彼(かれ)はいつも呑気(のんき)で、細(こま)かいことは気(き)にしないタイプだ。
- 해석: 그는 항상 느긋해서, 사소한 건 신경 쓰지 않는 타입이다.
- 期日(きじつ)
- 뜻: 기일, 약속된 날짜
- 예문: 期日(きじつ)までに必(かなら)ず提出(ていしゅつ)してください。
- 해석: 기일까지 반드시 제출해 주세요.
2.12. 日(にち) / 날 일 한자 읽기 정리
- 日曜日(にちようび): 일요일
- 今日(こんにち): 오늘날, 현대 (글자 그대로 ‘금일’이지만, ‘오늘날/근래’라는 뜻도 있음)
- 日光浴(にっこうよく): 일광욕
- 日付(ひづけ): 날짜
- 日々(ひび): 나날(이)
- 月日(つきひ): 세월 (=歳月(さいげつ))
2.13. 和(わ) 관련 단어
- 和(わ)の国(くに): 일본(을 가리키는 표현)
- 調和(ちょうわ): 조화
- 和菓子(わがし): 일본식 과자
- 和服(わふく): 일본 전통 의상(기모노 등)
2.14. 資源(しげん) & 恵(めぐ)まれている
- 資源(しげん)
- 뜻: 자원
- 예문: この国(くに)は資源(しげん)に恵(めぐ)まれている。
- 해석: 이 나라는 자원이 풍부하다(자원에 혜택을 받고 있다).
- 恵(めぐ)まれる
- 뜻: 혜택·은혜를 받다 / 풍족하게 주어지다
- 연관: 恩恵(おんけい) “은혜”, 恵(めぐ)む “(자비를) 베풀다”
2.15. 輸(ゆ) 관련 어휘
- 輸出(ゆしゅつ): 수출
- 輸入(ゆにゅう): 수입
- 輸送(ゆそう): 수송
- 運輸(うんゆ): 운수(운송업 관련)
2.16. 間取(まど)り / 物件(ぶっけん)
- 間取(まど)り
- 뜻: (집·방의) 구조, 배치
- 예문: このアパートの間取(まど)りは使(つか)いやすい。
- 해석: 이 아파트는 방 배치가 쓰기 편하다.
- 物件(ぶっけん)
- 뜻: 물건(특히 부동산 매물)
- 예문: 新(あたら)しい物件(ぶっけん)を探(さが)しに不動産屋(ふどうさんや)に行(い)く。
- 해석: 새 매물을 찾으러 부동산에 간다.
3. N2 청해 (청취)
3.1. 단어·표현
- 整備(せいび): 정비
- 今(いま)から / これから: 이제부터, 앞으로
- 今度(こんど): 이번(가까운 미래의 “다음번” 의미로도 쓰임)
- 今回(こんかい): 이번 (좀 더 ‘이번 한정’의 뉘앙스)
- エアコンが効(き)く: 에어컨이 잘 듣다 (효과가 있다)
- 効果(こうか): 효과
- 薬(くすり)が効(き)く: 약이 듣다 (효과가 있다)
- 湿布(しっぷ): 파스
- “효과가 있니?” → 効(き)いてる?: “잘 듣고 있니?”
- ガス漏(も)れ: 가스 누출
- 記入漏(きにゅうも)れ: 기입 누락
- ひびが入(はい)る: 금이 가다
- 部品(ぶひん)を取り替(か)える: 부품을 교체하다
- 補充(ほじゅう): 보충
- 蒸(む)し暑(あつ)い: 무덥다, 찌는 듯 덥다
- 先(さき)ご飯(はん)食(た)べたのに: 아까 밥 먹었는데(도) ~
- 예) 先(さき)ご飯(はん)を食(た)べたのに、もうお腹(なか)が空(す)いた。 (아까 밥 먹었는데 벌써 배고프다)
4. 작문(문법·표현)
4.1. 続(つづ)く / 続(つづ)ける
- 続(つづ)く: (자동사) 계속되다
- 예) 雨(あめ)の日(ひ)が一週間(いっしゅうかん)続(つづ)いた。
- 비 오는 날이 일주일 계속됐다.
- 예) 雨(あめ)の日(ひ)が一週間(いっしゅうかん)続(つづ)いた。
- 続(つづ)ける: (타동사) 계속하다
- 예) 勉強(べんきょう)を続(つづ)ける。
- 공부를 계속하다.
- 예) 勉強(べんきょう)を続(つづ)ける。
4.2. “언제” 관련 표현
- いつが / いつか(に): “언제가 ~ / 언젠가(에)”
- 예) いつか(に)日本(にほん)に行(い)きたいです。
- 언젠가 일본에 가고 싶습니다.
- 예) いつか(に)日本(にほん)に行(い)きたいです。
4.3. “どれがいいですか?”
- 의미: “어느 것이 좋나요?”
- 물건·선택지 등을 고를 때 자주 사용하는 표현.
- 예) AとB、どれがいいですか? (A랑 B 중 뭐가 좋나요?)
4.4. てほしい
- 聞(き)いてほしい
- 의미: “물어봐 줬으면 좋겠다” / “내 말을 들어줬으면 좋겠다”
- 상황에 따라 “상대가 내게 질문해 주길 바란다”거나 “내 이야기를 들어주길 바란다”는 뉘앙스도 됨.
- 行(い)ってほしかったです
- 의미: “(상대가) 가 주었으면 좋았을 텐데요.”
- 아쉬움·유감의 표현.
- 来(き)てほしくなかったです
- 의미: “오지 않았으면 했어요.”
- 상대 행동을 원치 않았음을 표현 (부정적 감정 포함).
4.5. ~れば ~ほど
- 食(た)べれば食(た)べるほどおいしい
- 의미: “먹으면 먹을수록 맛있다.”
- 구문: (동사 ば형) + (동사 사전형) + ほど → “~하면 할수록 ~하다”
- 다른 예) 見(み)れば見るほど不思議(ふしぎ)だ。
- 보면 볼수록 신기하다.
5. 최종 정리
- 명사 + ばかりしている: ~만 하고 있다 (때로 부정적 뉘앙스 포함)
- た형 + ばかりしている: 막 ~한 상태, 혹은 방금 ~했는데 또 같은 행동을 하고 있다는 뉘앙스
- のに: ~인데도 (역접 표현)
- だれが / だれか: “누가” / “누군가”
- 聞(き)いていいんですか / 聞(き)きたんですけど / 気(き)になる: 질문·궁금함 표현
- 知(し)りたい: 직접적으로 “알고 싶다”는 강한 정보 요구
- ~てほしい: ~해 주길 바라는 표현 (보조 동사처럼 쓰임)
- そば: 옆, 곁 (물리적·심리적 근접)
- 状況(じょうきょう): 상황
- 症状(しょうじょう): 증상
- 赤字(あかじ): 적자
- 黒字(くろじ): 흑자
- 整備(せいび): 정비
- 記入漏(きにゅうも)れ: 기입 누락
- 部品(ぶひん)を取り替(か)える: 부품 교체
- 蒸(む)し暑(あつ)い: 무덥다
- N + ばかりしている: ~만 하고 있다
- 동사 사전형 + ところだ: 막 ~할 참이다
- 동사 て형 + いるところ: ~하고 있는 중이다
- 동사 た형 + たばかり / たところ: 막 ~한 참이다
- 의지형 + (よ)うとする: ~하려고 하다
- ~れば~ほど: ~하면 할수록
- ~てほしい: ~해 주길 바라다
- 続(つづ)く(자동사) vs. 続(つづ)ける(타동사)
- 聞(き)いてほしい / 行(い)ってほしかった / 来(き)てほしくなかった: 희망·바람 표현
'일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分別 발음에 따른 2가지 의미 (0) | 2025.03.17 |
---|---|
なにか와 なんか 차이 (0) | 2025.03.16 |
생활일본어(250304) 2 (0) | 2025.03.04 |
생활일본어(250304) (0) | 2025.03.04 |
유하다요 일단어 정리(250303) (0) | 2025.03.03 |